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
- __len__
- HTML
- count()
- mro()
- shuffle()
- randrange()
- decode()
- fileinput
- locals()
- Database
- __sub__
- inplace()
- 파이썬
- 오버라이딩
- __annotations__
- fnmatch
- __getitem__
- MySQL
- JS
- choice()
- MySqlDB
- items()
- glob
- View
- shutil
- remove()
- node.js
- CSS
- discard()
- zipfile
- Today
- Total
목록전체 글 (132)
흰둥이는 코드를 짤 때 짖어 (왈!왈!왈!왈!왈!왈!왈!왈!왈!왈!왈!)

1. 함수 변수 x, y에 대한 x값이 정해지면 그에 따라 y값을 결정하는 것 반복적으로 사용되는 가치있는 부분을 묶어서 하나의 집합으로 만듬 코드를 대활용하기 위한 목적 1-1. 이름만 있는 함수 def 함수면(): 함수가 호출되면 실행할 문장 ... 함수명() # 호출 In [1]: def func1(): print('처음으로 만드는 함수!') In [2]: func1() 처음으로 만드는 함수! In [3]: for i in range(5): func1() 처음으로 만드는 함수! 처음으로 만드는 함수! 처음으로 만드는 함수! 처음으로 만드는 함수! 처음으로 만드는 함수! 1-2. 매개변수가 있는 함수 def 함수명(변수1, 변수2, ...) 함수가 호출되면 실행할 문장 ... 함수명(값1, 값2, ...

1. 세트(set) 수학의 집합과 비슷한 형태로 순서가 없어서 어떤 값이 먼저 나올지 알 수 없고, 중복되는 데이터를 허용하지 않음 딕셔너리처럼 중괄호를 사용해서 선언하지만, key는 존재하지 않고 value만 존재 1-1. set만들기 In [1]: s1 = {} print(s1) print(type(s1)) {} In [2]: s1 = {1, 3, 5, 7} print(s1) print(type(s1)) {1, 3, 5, 7} In [3]: li1 = [1, 3, 5, 7] s2 = set(li1) print(type(s2)) In [4]: s3 = {1, 3, 5, 3, 7, 9, 1} print(s3) {1, 3, 5, 7, 9} In [5]: li2 = [1, 3, 5, 3, 7, 9, 1] p..

1. 딕셔너리(Dictionart) 대응관계를 나타내는 자료형으로 key와 value라는 것을 한쌍으로 갖는 형태태 하나의 딕셔너리의 key는 중복될 수 없음 하나의 딕셔너리의 value는 중복 될 수 있음 1-1 딕셔너리 만들기 변수 = {키1:값1, 키2:값2 ... } In [2]: dic1 = {} # 빈 딕셔너리를 생성 print(dic1) {} In [5]: dic2 = {1:'김사과', 2:'반하나', 3:'오렌지', 4:'이메론'} print(dic2) {1: '김사과', 2: '반하나', 3: '오렌지', 4: '이메론'} 1-2. key를 통해 value 찾기 In [7]: dic2 = {1:'김사과', 2:'반하나', 3:'오렌지', 4:'이메론'} print(dic2[1]) prin..

1. 반복문 1-1. 자료형 참/거짓 판단하기 파이썬에서 사용하는 모든 자료형은 참 또는 거짓으로 표현이 가능 In [1]: bool1 = True print(bool1) print(type(bool1)) True In [6]: # 0 이 아닌 숫자는 모두 True, 0은 False num1 = 10 print(num1) print(type(num1)) print(bool(num1)) num2 = 0 print(num2) print(type(num2)) print(bool(num2)) 10 True 0 False In [10]: str1 = '안녕' print(str1) print(type(str1)) print(bool(str1)) str2 = '' print(str2) print(type(str2))..

1. 제어문 프로그램의 흐름을 제어하는 문장 조건문 반복문 2. 조건문 2-1. 비교연산자 , =, ==, != 항상 결과는 bool형으로 반환 In [3]: print(10 > 5) print(10 = 5) print(10 19: print('성인입니다') print('입력한 나이: ', age) 나이를 입력하세요: 20 성인입니다 입력한 나이: 20 In [8]: age = int(input('나이를 입력하세요: ')) if age > 19: print('성인입니다') print('넷플릭스 성인영화를 감상할 수 있습니다') print('입력한 나이: ', age) 나이를 입력하세요: 20 성인입니다 넷플릭스 성인영화를 감상할 수 있습니다 입력한 나이: 20 In [9]: a..

1. 튜플(Tuple) 리스트와 비슷하지만 리스트는 대괄호로 자료를 감싸고, 튜플은 소괄호로 감쌈 요소의 수정, 삭제 불가능 튜플이 사용되는 이유 - 파이썬은 변수 선언이 아니므로 재사용시 오류를 잡을 수 없음 이런일로 데이터가 바뀌는일이 없어야 되는경우 튜플 사용 In [1]: tu1 = () print(tu1) tu1[0] = 100 # TypeError: 'tuple' object does not support item assignment () 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 TypeError Traceback (most recent call last) in 2 print(tu1) 3 ----> ..

1. 자료구조(Data Structure) 코드상에서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처리하기 위해 데이터 특징에 따라 체계적으로 구조화하여 저장 2. 리스트(list) 여러가지 데이터 및 데이터타입을 콤마로 구분하여 대괄호로 감싼 자료구조 In [ ]: a = 10 # 스칼라: 데이터 하나만 들어간 경우 print(a) 10 In [ ]: li1 = [1, 3, 5, 7, 9] print(li1) print(type(li1)) [1, 3, 5, 7, 9] In [ ]: li2 = list([1, 3, 5, 7, 9]) print(li2) [1, 3, 5, 7, 9] In [ ]: li3 = ['김사과', '반하나', '오렌지', '이메론'] print(li3) ['김사과', '반하나', '오렌지', '이메론'] I..

In [ ]: str1 = '오늘은 파이썬 3일차 수업입니다' print(str1) 오늘은 파이썬 3일차 수업입니다 In [ ]: str2 = "오늘은 파이썬 3일차 수업입니다" print(str2) 오늘은 파이썬 3일차 수업입니다 In [ ]: str3 = '류지: "오늘은 파이썬 3일차 수업입니다."' print(str3) str4 = "류지: '오늘은 파이썬 3일차 수업입니다.'" print(str4) 류지: "오늘은 파이썬 3일차 수업입니다." 류지: '오늘은 파이썬 3일차 수업입니다.' - ' ' 와 " " 는 같은 기능을 하지만 문자열 안에서 사용하기 위해서는 구분하여 사용하여야 한다. In [ ]: str5 = ''' 류지: 오늘은 파이썬 3일차 수업입니다 ''' print(str5) 류지:..